본문 바로가기
내맘대로 취업

ANSI 300# FLANGE 규격

by 만물박사 Dobidi 2025. 1. 27.
반응형
반응형

 

ANSI FLANGE 300#는 미국 ANSI(미국국가표준협회) 및 ASME(미국기계공학회)의 B16.5 표준에 따라 설계된 플랜지로, Class 300(300LB)의 압력 등급을 가진 배관 연결 부품입니다. 이 플랜지는 고온 및 고압 환경에서 사용되며, 석유화학, 정유, 발전소, 해양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됩니다.

 

오늘의 포스팅에서는 ANSI FLANGE 300#의 주요 특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합시다.

1. 압력 및 온도 조건:

   - Class 300 플랜지는 약 20~50 bar(290~725 psi)의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며, 이는 온도와 재질에 따라 달라집니다.
   - 일반적으로 중압 및 고온 환경에 적합하며, 석유 및 가스, 화학 처리 산업에서 주로 사용됩니다.

2. 재질:

   - 탄소강(A105), 스테인리스강(304, 316 등), 합금강 등 다양한 재질로 제작됩니다.
   - 고온과 부식 환경에서는 스테인리스강이나 특수 합금이 선호됩니다.


3. 표면 유형:

   - Raised Face (RF): 가장 일반적인 유형으로 가스켓과의 밀봉 성능을 높이기 위해 표면이 약간 돌출되어 있습니다.
   - Flat Face (FF): 낮은 압력 시스템에 적합하며, 주로 주철 장비와 함께 사용됩니다.
   - Ring Type Joint (RTJ): 금속 접촉 밀봉 방식으로 고압 및 고온 환경에서 사용됩니다.

 


4. 치수 및 크기:

아래는 ANSI B16.5 Class 300 플랜지의 **공칭 파이프 크기(NPS)**별 상세 규격을 처음부터 16인치까지 정리한 표입니다. 모든 치수는 밀리미터(mm) 단위로 제공되며, 무게는 탄소강 기준입니다.

NPS (인치) 외경 (D) 두께 (T) 볼트 원 지름 (PCD) 볼트 홀 수 (n) 볼트 홀 크기 (h) 무게 (kg)
1/2 95.25 14.22 66.7 4 15.9 0.7
3/4 117.35 15.75 82.5 4 15.9 1.1
1 123.95 17.53 88.9 4 19.0 1.4
1-1/4 133.35 19.05 98.4 4 19.0 1.8
1-1/2 155.45 20.57 114.3 4 22.2 2.6
2 165.10 22.23 127 8 19.0 3.4
2-1/2 190.50 25.40 149.2 8 22.2 4.4
3 209.55 28.58 168.3 8 22.2 6.1
3-1/2 228.60 30.23 184.1 8 22.2 7
4 254 31.75 200 8 22.2 10
5 279 34.93 235 8 22.2 14
6 318 36.53 270 12 22.2 20
8 381 41.15 330 12 22.2 30
10 445 46.05 387 16 25.4 45
12 521 49.25 450

 

 


5. ANSI FLANGE 300#의 종류

1) 슬립온(Slip-On): 파이프 외경에 끼운 후 용접하여 고정.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입니다.

2) 웰딩넥(Welding Neck): 허브가 길게 연장되어 있어 응력을 분산시키며, 고압/고온 환경에 적합합니다.

3) 소켓웰딩(Socket Welding): 소구경 배관에 적합하며, 파이프를 소켓 내부에 삽입 후 용접합니다.

4) 블라인드(Blind): 배관 끝을 막는 용도로 사용되며, 테스트 및 유지보수 시 유용합니다.

5) 나사형(Threaded): 나사산을 통해 연결되며, 용접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112.

 

6. 적용 산업 및 장점

1) 적용 산업:

-석유화학 공정

-정유 공장

-발전소

-해양 산업

-화학 처리 시설

 

2)장점:

-높은 내구성과 신뢰성.

-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유연한 설계 가능.

-고압/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 제공.

 

7. ANSI FLANGE 300# 선택 시 고려사항

-시스템의 작동 압력과 온도 조건을 철저히 분석해야 합니다.

-플랜지 재질은 유체 특성과 부식 가능성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.

-볼트 홀 수와 볼트 원 지름(PCD)을 정확히 확인하여 호환성을 보장해야 합니다.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