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법률 정보 & 상담

특별피난계단 설치대상 및 기준

by 만물박사 Dobidi 2025. 2. 12.
반응형
반응형

특별피난계단 설치대상 및 기준 🌟

**특별피난계단**은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안전한 대피를 위해 설치되는 계단으로, 일반 피난계단보다 강화된 구조와 기준을 요구합니다. 이는 건축물의 높이, 용도, 면적에 따라 설치 여부가 결정되며, 아래에서 대상과 설치 기준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😊

1. 특별피난계단 설치대상

특별피난계단은 건축법 시행령 제35조에 따라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건축물에 설치해야 합니다:

A. 층수 기준

  1. 지상 11층 이상 건축물
    • 공동주택의 경우 16층 이상.
  2. 지하 3층 이하 건축물

B. 바닥면적 기준

  1. 400㎡ 이상인 층
    • 지상 11층 이상 또는 지하 3층 이하의 층 중 바닥면적이 400㎡ 이상인 경우.

C. 용도 기준

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 중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:

  1. 판매시설, 문화 및 집회시설(전시장 등), 운동시설, 위락시설 등
    • 지상 5층 이상의 층에서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이 2,000㎡ 초과 시, 초과 면적마다 1개소의 특별피난계단 설치.
  2. 다중 이용 시설
    • 다중이 이용하는 관광휴게시설, 수련시설 등.

2. 특별피난계단 설치 제외 대상

특별피난계단 설치가 면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:

  1. 5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200㎡ 이하인 경우
  2. 5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이 200㎡ 이내마다 방화구획이 되어 있는 경우

💡 즉, 면적이 작거나 방화구획으로 안전성을 확보한 경우에는 설치 의무가 없습니다.

3. 특별피난계단 설치기준

특별피난계단은 강화된 구조와 설비를 요구하며,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:

A. 구조

  1. 내화구조 및 불연재료 사용
    • 계단실과 부속실은 내화구조로 구획.
    • 실내 마감재는 불연재료로 해야 함.
  2. 배연설비 설치
    • 화재 시 연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면적 3㎡ 이상의 배연설비를 부속실에 설치.
  3. 출입구 방화문
    • 출입구는 60분 방화문(또는 30분 방화문)을 설치하며, 자동 닫힘 기능을 갖춰야 함.
  4. 직접 연결 계단
    •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설계.

B. 창문 및 노대

  1. 계단실과 외부를 연결하는 창문은 면적 1㎡ 이상으로 설치.
  2. 계단실 외부 창문은 다른 창문과 최소 2m 이상의 거리를 두고 배치.

C. 조명 및 비상전원

  •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갖춰야 함.

D. 돌음계단 금지

  • 피난 방향이 혼란스러울 수 있는 돌음계단 형태는 허용되지 않음.

4. 특별피난계단의 필요성

특별피난계단은 일반 피난계단보다 강화된 구조와 설비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:

  1. 화재 시 연기와 열로부터 대피자를 보호.
  2. 고층 및 대규모 건축물에서 안전한 대피 경로 제공.
  3. 다중 이용 시설의 재실자 안전 확보.

5.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: 특별피난계단과 일반 피난계단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
A: 특별피난계단은 내화구조, 배연설비, 방화문 등 추가적인 안전 설비를 갖춘 강화된 피난계단입니다.

Q2: 공동주택에도 특별피난계단이 필요한가요?

A: 네! 공동주택의 경우 지상 16층 이상이면 특별피난계단을 설치해야 합니다.

Q3: 지하층에도 반드시 특별피난계단을 설치해야 하나요?

A: 지하 3층 이하이고 바닥면적이 400㎡ 이상인 경우 특별피난계단 설치가 의무입니다.

6. 마무리

특별피난계단은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설비입니다! 건축물의 용도와 규모에 따라 적절히 설계하고 법적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💡 건축 계획 단계에서 전문가와 충분히 상의하여 안전한 대피 경로를 마련하세요! 😊

반응형

댓글